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분부전증 증상 테스트 자가진단 VS 우울증 차이

by 민트트립 2025. 3. 25.

기분부전증은 만성적으로 경미한 우울 증상이 지속되는 기분 장애이다. 주요 우울증보다 증상이 심하지는 않지만, 오랫동안 지속되어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 기분부전증 특징

· 만성적인 우울감: 하루 중 대부분, 그리고 거의 매일 우울한 기분이 지속됩니다.
· 긴 지속 기간: 최소 2년 이상 우울 증상이 지속됩니다.
· 경미한 증상: 주요 우울증만큼 증상이 심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우울 관련 증상이 나타납니다.
· 일상생활의 어려움: 만성적인 우울감으로 인해 학업, 직장, 대인관계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2. 기분부전증 테스트 및 자가진단

아래 요인 중 2개 이상 포함되면 기분부전장애를 의심해봐야 한다.

 

⊙ 2년 이상 우울하지 않은 날보다 우울한 날이 많다

⊙ 한번 우울하면 하루 종일 우울감이 지속된다

⊙ 식욕부진이나 과식

⊙ 불면증 또는 수면과다

⊙ 기력감퇴와 만성피로

⊙ 절망감

3. 기분부전증 극복 및 치료 방법

기분부전장애환자들은 치료받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치료는 비교적 쉽다. 일반적으로 우울증상을 보이면 항우울제, 불안증상을 보일 경우 항불안제를 사용한다. 약물치료와 병행하는 면담은 지지적 정신치료 위주로 진행된다. 한 전문의는 “환자의 낮은 자존감을 회복시켜주기 위해 긍정적 사고를 권장하고 조건 없는 사랑을 인식시켜주는 것이 좋다”며 “하지만 불안해소용 관심은 환자에게 독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한다”고 덧붙였다.

기분부전장애는 재발이 쉬운 질병인 만큼 유지치료가 필수적이며 꾸준한 운동과 식습관조절 등 규칙적인 생활이 회복에 도움이 된다.

4. 기분부전증 VS 우울증 차이점

기분부전증과 우울증은 모두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기분 장애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특징 기분부전증 우울증
증상의 심각도 경미함 심각함
지속 기간 2년 이상 2주 이상
주요 증상 만성적인 우울감, 피로감, 낮은 자존감 등 슬픔, 절망감, 무기력감, 흥미 상실 등
치료 약물 치료, 정신 치료 약물 치료, 정신 치료

두 질환 모두 우울감이 주요 증상으로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기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